목록Linux (9)
Hailey's TIL
▶ 새로 배운 내용 1. Client-Server Model Client-Server Model - 서비스 요청자인 client와 서비스 자원의 제공자인 server 간에 작업을 분리해 주는 분산 애플리케이션 구조이자 네트워크 아키텍처 Client-Server Model 종류 - Web server(Apache or IIS) - Web client(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사파리, 파이어폭스 등 ) - Telnet server - Telnet client (telnet, PuTTY 등) - SSH server - SSH client (ssh, PuTTY 등) - VNC server - VNC client (vncviewer, TightVNC 등) - FTP server - FTP client (File..

▶ 실습 과제 - 이제까지 해왔던 실습 중 모르거나 복습하고 싶은 실습 2개 진행 1. 우분투 새로 설치하기 강의를 하면서 가장 먼저 배운것이 우분투를 설치하는 것이었고 거의 매 실습마다 우분투 서버를 백업 파일에 저장해 놓았던 것을 다시 설치하여 실습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계속해서 서버를 지우고 설치하고 반복하다 보니 백업 서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아무것도 없는 1주차 상태의 서버를 지워버렸고 백업 폴더에 저장해놓은 서버에 기존에 실습했던 것이 다 담겨져 있어 보기에도 안좋고 원상태로 복구하기도 힘들어서 복습을 하는 김에 새로 우분투를 설치하는 실습을 진행하였다. 우분투를 새로 설치 하기 전에는 cs-1, it등의 전에 실습 과제로 만들었던 계정이 남아있었고 하드 디스크도 여러개로 만들었었는데 다시 새..

▶ 실습 과제 유용한 bash script 작성하기 - 랜덤으로 문자열과 난수를 생성하는 bash script를 작성하였다. - random_test1: A 또는 C 랜덤 출력 - random_test2: 모든 영어 대/소문자와 숫자 중 8자리 랜덤 출력 - random_test3: 0부터 9까지의 랜덤 숫자 생성 - random_test4: 1부터 100까지의 랜덤 숫자 생성 - 유용하다고 생각한 이유 : 일상생활에서 랜덤으로 문자나 숫자를 뽑아야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작성해보았다. 예를 들어 test2는 패스워드를 만들거나 어떤 항목에 무작위로 식별가능한 코드를 부여할때 사용될 수 있고, test4 같은 경우에는 제비뽑기나 순서를 결정할때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참고한..

▶ 실습 과제 - server(b)에 하드디스크 2개를 추가하여 LV를 1G, 2G, 1G, 1G로 총 4개를 설정 ▶ 실습 과정 1. 파티션 분할 전 확인 2. 파티션 분할 진행 3. lvm2 설치 4. pvcreate(PV, 물리적 볼륨 생성) 5. vgcreate myVG(VG, 물리 볼륨을 묶어서 볼륨그룹 생성) 6. lvcreate(LV, 논리 볼륨 4개 생성) 7. 논리볼륨에 대한 파일시스템 생성 8. 파일시스템 마운트 9. 파일 복사 10. 부팅 시 자동 마운트 설정 11. 재부팅 후 확인 ▶ 새로 알게된 내용 1.디스크 관리 -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처럼 사용하기 1) RAID 6 - RAID 5를 개선. ( 패리티 정보 2개 사용 ) - 4개 이상의 하드 디스크 필요 ( 통상적으로 7..

▶ 실습 과제 RAID 5 설치 -현재 가장 많이 쓰인다고 함. RAID 5는 패리티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따로 확보해놓기 때문에 이를 통해 결함을 어느정도 허용한다. 결함을 허용하지 않는 Linear RAID와 RAID 0는 데이터가 저장된 공간에 문제가 생기면 데이터를 영영 복구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지만 RAID 5는 데이터에 문제가 생겨도 패리티 데이터를 확인하여 어느정도 복구가 가가능하다. 또한 RAID 5는 따로 복사본을 저장하는 방식이 아닌 패러티 데이터를 활용해 채러티 제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외하고는 하드디스크의 모든 용량을 데이터 저장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이 좋다. ▶ 새로 배운 내용 1. 파일시스템의 이해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 : 디렉터리 (≒ 폴더) - ext4..

▶ 실습 과제 -Server(b)에 GNOME 데스크톱 설치 후, 유용한 프로그램 3개 설치 1.koulourpaint -윈도우에서의 그림판과 같다. 그림판에 간단히 그림을 그리거나 메모하는데 유용할것 같아서 설치하였다. 2. Clementine -뮤직플레이어이다. 다른 플레이어드로가 다르게 구글 드라이브에 있는 음악을 바로 재생시킬수 있다는 점이 유용해 보여 설치해보았다. 3. Minitube - 검색어를 입력하면 관련 영상을 계속해서 찾아준다고 한다. 마치 유튜브의 알고리즘과 같다. 심지어 광고도 나오지 않는다고 한다. 윈도우에서는 비슷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려면 대부분이 유료인데 리눅스에서는 무료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설치해볼만 하다고 느꼈다. ▶ 새로 알게 된 내용 1. 패키지와 파일을 삭제하는 방법 ..

▶ 실습 과제 -프로그램 설치; htop 설치 htop이란 기존의 리눅스의 top을 향상시킨 도구이다. F1~F10까지 설정 메뉴, 프로세스 검색, 프로세스 우선 순위 변경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리눅스에서 top 명령어는 유닉스계열 시스템에서 프로세스 목록을 CPU 사용률이 높은 것부터 보여주는 소프트웨어) apt install htop ▶ 문제 발생 및 해결 프로그램을 설치할때 계속해서 밑과 같이 패키지가 없다는 오류가 떠서 시간이 매우 오래걸렸다. 알고보니 저장소를 입력할때 오타가 있어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였고 다시 제대로 입력을 하였더니 설치가 완만히 이루어졌다. ▶ 새로 배운 내용 1. 리눅스 디렉터리 - /bin :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음 - /dev : 장치파일이 존재 - /etc : 시스..

실습 과제 -리눅스 기본 명령어 중 잘 모르는 것 새로 알게된 내용 1. 컴퓨터 시스템 개요 -input 장치로 들어온 요청은 메모리에 저장되었다가 CPU에서 명령어를 처리 ->처리된 결과는 Output 장치와 Network Adapter로 전달되거나 저장 장치에 저장 -Middleware: web server, DB와 같은 것으로 응용 SW와 OS간의 통신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User Mode와 Kernel Mode를 구분하여 Process가 직접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상황을 막음 -파일 시스템: 사용자에게 의미가있는 하나의 데이터를 이름, 위치, 크기 등의 보조 정보를 추가하여 관리 2. 런레벨 변경하기 3. 파일 묶기와 압축 => 데이터 압축 -> 데이터를 더 적은 공간에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