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iley's TIL
[컴퓨터 시스템 관리] 8주차 실습일지 (21.04.26.) 본문
▶ 실습 과제
- 이제까지 해왔던 실습 중 모르거나 복습하고 싶은 실습 2개 진행
1. 우분투 새로 설치하기
강의를 하면서 가장 먼저 배운것이 우분투를 설치하는 것이었고 거의 매 실습마다 우분투 서버를 백업 파일에 저장해 놓았던 것을 다시 설치하여 실습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계속해서 서버를 지우고 설치하고 반복하다 보니 백업 서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아무것도 없는 1주차 상태의 서버를 지워버렸고 백업 폴더에 저장해놓은 서버에 기존에 실습했던 것이 다 담겨져 있어 보기에도 안좋고 원상태로 복구하기도 힘들어서 복습을 하는 김에 새로 우분투를 설치하는 실습을 진행하였다.
우분투를 새로 설치 하기 전에는 cs-1, it등의 전에 실습 과제로 만들었던 계정이 남아있었고 하드 디스크도 여러개로 만들었었는데 다시 새로 설치 하고 나서 완전하게 아무것도 없이 실습용 ubuntu 계정만 남긴 상태로 만든 뒤 백업 폴더에 복구 저장하였다.
2. 파일 압축하기
2주차에 진행했던 실습인데 그 때도 파일을 압축하는 것이 생각보다 제대로 되지않아 꽤 힘들었던 기억이났다. 그래서 복습 겸 파일을 압축하는 실습을 다시 해보았다.
1) mkdir revision 으로 revision 디렉토리 생성
2) 파일 만들기
- touch 파일명 : 파일 생성
- cp : 파일에 있는 내용을 복사
cp text1.txt text3.text : text1.tx 에 있는 내용을 text3.tx에복사
man cp > text2.txt : cp의 man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text2.txt에 복사
3) revision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tar파일로 묶고 압축하기
파일 홈에서 압축한 파일들이 제대로 저장되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복습 내용
파일을 묶고 압축하기
1. tar
- tar 명령어는 다수의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하나의 파일로 묶는다.
- 특히 백업의 목적으로 시스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을 때 유용하다.
- gzip이나 bzip2과 같은 파일 압축 명령어와 함께 쓰면 파일 아카이브를 생성하면서 압축까지 같이 병행할 수 있다.
- 자주 사용되는 옵션
옵션 |
설명 |
-c |
파일을 tar로 묶음 |
-p |
파일 권한을 저장 |
-v |
묶거나 파일을 풀 때 과정을 화면으로 출력 |
-f |
파일 이름을 지정 |
-C |
경로를 지정 |
-x |
tar 압축을 풂 |
-z |
gzip으로 압축하거나 해제함 |
- 사용 예시
-압축 생성
tar cvf temp.tar temp/
; temp 디렉터리를 temp.tar 이라는 파일로 묶는다.
(temp 디렉터리와 그 이하의 모든 파일 및 디렉터리)
-압축 해제
tar xvf temp.tar
2. gzip
-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압축 방식으로써 압축률이 매우 뛰어나다.
-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묶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tar 명령어와 함께 사용하여 tar.gz 확장자를 쓰기도 한다.
- gzip 명령어는 파일을 압축만 할 뿐 여러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하나로 묶지는 못한다.
3. bzip2
- bzip2는 Burrows-Wheeler 블록 정렬 테스트 압축 알고리즘과 Huffman 코딩을 이용해서 압축률이 뛰어나다.
- bzip2는 GNU gzip과 비슷한 사용법을 갖는다.
- 압축한 파일은 압축 전의 날짜, 퍼미션, 소유자 등 속성을 그대로 가지므로 압축한 파일을 풀었을 때에도 원본 파일의 속성을 그대로 간직한다. bzip2의 확장자는 .bz2이다.
- gzip보다 압축률은 좋지만 압축 속도는 느리다.
▶ 참고할 만한 내용
-리눅스 압축
리눅스 압축 tar gzip bzip2 zip 해제/압축 방법
리눅스 압축 명령/방법/종류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되는 압축파일로는 tar, gz, bz2, zip 등이 있다. 이들 각각은 나름대로의 고유한 압축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압축해제하는 방법 또한 다양하다.
techlog.gurucat.net
[리눅스] 리눅스 tar, gz 압축 및 해제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tar 혹은 tar.gz로 압축을 하거나 압축을 풀어야 할 경우가 자주 생긴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리눅스에서는 tar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tar 명령어도 여러가지 옵
nota.tistory.com
▶ 회고
+ : 지난번 실습에서는 파일을 압축할때 오타도 많이 나고 띄어쓰기도 엉망으로해서 시간이 오래걸렸을 뿐만 아니라
파일이 제대로 압축이 되지 않아 여러번 실습을 진행해야했었다. 이번에는 복습을 하면서 명령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확실하게 알고 실습을 진행하다보니 생각보다 수월하게 실습이 진행되어 기분이 좋았다.
- : 우분투를 다시 설치하는데 시간이 매우 오래걸렸다. 앞으로는 백업을 폴더에서 파일을 가져올때 저장 날짜와
수정 날짜 확인을 제대로 확인해서 우분투를 다시 설치하는 일을 없애야겠다.
! : 확실히 복습을하니 몰랐던 부분을 다시 알게되었다. 전에는 그냥 코드를 따라 적는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번에는 정말로 실습을 한것 같은 느낌이 들어 뿌듯했다. 매번 강의를 들을때 마다 복습해야지 생각만 했었는데 앞으로는 이번주 처럼 모르는 부분이 생기거나 어려웠던 부분이 있으면 반복을 꼭 해야겠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시스템 관리] 10주차 실습일지 (21.05.10.) (0) | 2021.05.10 |
---|---|
[컴퓨터 시스템 관리] 7주차 실습일지(21.04.18.) (0) | 2021.04.19 |
[컴퓨터 시스템 관리] 6주차 실습일지(21.04.10.) (0) | 2021.04.10 |
[컴퓨터 시스템 관리] 5주차 실습일지(21.04.03.) (0) | 2021.04.03 |
[컴퓨터 시스템 관리] 4주차 실습일지(21.03.29.) (0) | 2021.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