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시스템 관리] 6주차 실습일지(21.04.10.)
▶ 실습 과제
- server(b)에 하드디스크 2개를 추가하여 LV를 1G, 2G, 1G, 1G로 총 4개를 설정


▶ 실습 과정
1. 파티션 분할 전 확인

2. 파티션 분할 진행

3. lvm2 설치

4. pvcreate(PV, 물리적 볼륨 생성)

5. vgcreate myVG(VG, 물리 볼륨을 묶어서 볼륨그룹 생성)

6. lvcreate(LV, 논리 볼륨 4개 생성)

7. 논리볼륨에 대한 파일시스템 생성

8. 파일시스템 마운트

9. 파일 복사

10. 부팅 시 자동 마운트 설정

11. 재부팅 후 확인

▶ 새로 알게된 내용
1.디스크 관리 -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처럼 사용하기
1) RAID 6
- RAID 5를 개선. ( 패리티 정보 2개 사용 )
- 4개 이상의 하드 디스크 필요 ( 통상적으로 7-8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필요 )
- RAID 5에 비해 공간 효율, 성능은 낮지만 안전성 ( 데이터 신뢰도 )는 높아짐
2) RAID 1+0
- RAID1의 미러링 방식과 RAID0의 스트라이핑 방식을 합친 방식
- 신뢰성과 성능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공간 효율은 50%
3) RAID 1+6
- RAID1으로 구성한 디스크를 다시 RAID6로 구성
- 매우 중요한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하며 안전성만을 강조
2. LVM (Logical Volume Manage)
: 논리적 볼륨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커널의 한 부분이자 프로그램
- PV , Physical Volume : LVM에서 사용할 수 있는 블록 장치 전체 or 블록 장치를 이루는 파티션
- PE , Physical Extent : PV를 구성하는 일정 크기의 블록
- VG , Volume Group : PV들의 집합, LV를 할당할 수 있는 공간
- LV , Logical Volume : 사용자가 다루게 되는 논리적인 저장 공간 ( Linear LV , Striped LV , Mirrored LV )
- LE , Logical Extent : LV를 구성하는 일정 크기의 블록
3. 사용자 별 공간 할당
: 사용자 별로 사용할 수 있는 용량 제한
- Quota (쿼터) : 파일 시스템마다 사용자나 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용량 및 개수를 제한.
▶ 회고
- 이번 강의 실습에서는 에러가 나지 않아서 기분이 좋았다. 또한 실습을 통해서 디스크를 관리하고 lvm을 직접 설치해볼 수 있어서 유익하였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개념에 대해서 헷갈리는것들이 많았다. 또한 개념을 배워도 실습 시에 어떻게 적용을 해야하는지 잘 모르는 부분이 많을뿐 더러 실습을 하는 도중에도 제대로 이해가 가서 실습을 하는것 보다는 그냥 따라하는 부분이 많아서 반성을 하게되었다. 앞으로 강의를 들을때 집중해서 듣고 어떤 식으로 적용을 해야하는지 생각을 하면서 강의를 들으며 다시 강의를 반복하여 복습을 해야겠다.